-
수경재배 작물별 광요구량 정리 (실내조명 선택 가이드)스마트팜(도시농부) 2025. 5. 11. 10:00
작물별 광요구량 비교와 실내 LED 조명 선택 가이드
1. 왜 작물별 광요구량을 알아야 할까?
수경재배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물과 영양액만으로는 부족하다.작물이 잘 자라기 위해서는 광합성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때 얼마나 많은 빛을 얼마 동안 제공하는지,
즉 광요구량이 핵심이 된다.
하지만 모든 작물이 같은 양의 빛을 필요로 하는 건 아니다.상추, 바질, 토마토처럼 우리가 자주 키우는 작물들도 요구하는 빛의 강도(PPFD)나 일일 조명 시간(DLI)이 서로 다르다.
이를 무시하면 식물이 웃자라거나 생장이 멈추며, 조명을 썼음에도 결과가 좋지 않다.따라서 작물에 맞는 조명 전략을 설정하는 것이 스마트팜의 성패를 좌우한다.
2. 작물별 권장 PPFD와 일일 광량(DLI) 정리작물의 광요구량은 일반적으로 PPFD(광합성 유효광자속밀도, μmol/m²/s)와
DLI(일일 광량, mol/day) 단위로 표현된다. 아래는 주요 수경재배 작물 기준이다.
작물 권장 PPFD 권장 조명 시간 일일 DLI 상추 100~200 12~16시간 10~14 mol 바질 150~300 14시간 14~16 mol 방울토마토 300~500 16시간 이상 20~25 mol 청경채 100~200 12시간 10~12 mol 딸기 250~400 14시간 18~22 mol
초보자용 팁:상추, 청경채처럼 저광 요구 작물은 LED 조명을 최소로 운영해도 생장 가능하지만,
토마토·딸기류는 강광이 없으면 수확이 어렵다.
3. 실내 LED 조명 선택 기준과 추천 전략
광요구량에 맞춰 조명을 고르려면 단순히 ‘밝기’가 아니라광합성에 효과적인 파장대(청색 450nm / 적색 660nm)를 포함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LED 선택 시 체크리스트:
- 스펙트럼: 풀스펙트럼 or 청+적 혼합
- 광량: PPFD 단위 기준 제공되는 모델
- 크기: 선반 너비 또는 작물 범위에 맞는 바(bar)형 또는 패널형
- 전력: 30~60W 모델이면 가정용으로 충분
예시 구성:
- 상추/허브용 → 30W 바형 LED 1개
- 토마토/딸기용 → 50W 이상 패널형 LED 2개 + 반사판 설치
4. 조명 거리와 시간도 생장에 결정적이다조명의 종류뿐 아니라, 식물과 조명 사이 거리와 하루 점등 시간도 작물 성장에 큰 영향을 준다.
가까우면 잎이 탈 수 있고, 너무 멀면 빛이 약해져 웃자람이 발생한다.
조명 거리 효과 추천 작물 15~20cm 강광, 고성장 토마토, 딸기 20~30cm 중간광 바질, 적근대 30~40cm 저광 상추, 허브류 하루 점등 시간은 12~16시간이 적당하며, 광요구량 높은 작물일수록 길게 점등해야 한다.
스마트 플러그를 활용한 타이머 제어로 자동화 관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스마트팜(도시농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팜 LED 조명 고장 점검 체크리스트 (0) 2025.05.15 수경재배 작물 수확 시기와 신호 (0) 2025.05.14 1만원 이하로 만드는 초저가 스마트팜 DIY 키트 (0) 2025.05.13 실내 스마트팜에서도 주의해야 할 병해충 5가지와 안전한 대처법 (1) 2025.05.12 스마트팜 작물 성장 기록표 만들기 (초보자용 가이드 + 구성 예시) (0) 2025.05.10 스마트팜 구축비용 완전 분석 (소형~중형 기준) (0) 2025.05.09 LED 조명 없이 수경재배 가능한가? 자연광 활용 전략 (0) 2025.05.08 아파트 베란다형 스마트팜 인테리어 아이디어 TOP 7 (0) 2025.05.07